본문 바로가기

고려시대27

천년의 빛, 고려청자의 정수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이야기 고려청자의 최고봉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고려청자는 동양 도자기 역사상 가장 아름답고 독창적인 도자기로 손꼽히며, 그중에서도 단연 백미로 꼽히는 유물이 있습니다. 바로 국보 제68호로 지정된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靑磁 象嵌 雲鶴文 梅甁)"입니다.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이 매병은 고려 상감청자의 정점을 보여주는 예술품으로, 그 조형미와 문양, 기법 모두에서 압도적인 아름다움을 자랑합니다.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의 특징 형태와 구조이 매병은 높이 약 42.1cm, 입지름 6.2cm, 밑지름 17cm로, 어깨가 넓고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유려한 곡선미를 지녔습니다. 입구는 작고 단정하며, 어깨는 당당하게 퍼져 고귀한 인상을 줍니다.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는 비례와 정제된 곡선은 고려청자의 미학을 집약적으로 보여.. 고려시대 2025. 5. 13.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 대조영은 어떻게 시작하였을까? 고구려의 계승자, 발해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고구려의 후예’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나라가 떠오르시나요? 많은 분들이 고려를 떠올리지만, 실제로 고구려가 멸망한 직후, 그 명맥을 이은 또 하나의 나라가 있었습니다. 바로 발해(渤海)입니다.오늘은 고구려 멸망 후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떠올랐던 발해의 탄생 과정을 자세히 소개해 드릴게요고구려 멸망, 그리고 새로운 희망의 불씨 668년, 삼국의 하나였던 고구려는 당나라와 신라의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게 됩니다. 왕인 보장왕은 포로가 되었고, 수많은 고구려 백성들은 흩어졌습니다. 하지만 고구려 유민들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북쪽 지역, 특히 압록강 상류와 만주 지역에는 여전히 고구려의 잔존 세력이 남아 있었고, 그 중심에 바로 대조영(大祚榮)이라는 인물.. 고려시대 2025. 5. 4.
팔만대장경을 통해서 위기를 극복하려 했던 우리 민족, 팔만대장경의 가치는? 팔만대장경 조성(13세기): 세계적 목판 인쇄 유산, 불교문화의 정수 우리 민족이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문화유산 중 하나가 바로 팔만대장경입니다. 팔만대장경은 13세기 고려시대에 조성된 방대한 불교 경전 집대성으로,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목판 인쇄 유산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 단순히 종교적 가치를 넘어서, 과학, 예술, 기술의 결정체로서 오늘날까지 전해지며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팔만대장경이 어떻게 조성되었고, 어떤 의미를 지니며, 세계적으로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팔만대장경이란 무엇인가?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은 불교 경전을 집대성한 방대한 목판 인쇄본을 의미합니다. '팔만'이라는 수치는 대략적인 경전의 수를 상징하며, 실제로 약 8만여 .. 고려시대 2025. 5. 1.
강조에 의해 옹립된 현종, 혼란을 수습한 개혁군주 고려 제8대 국왕 현종, 혼란을 딛고 전성기로 나아간 개혁의 군주 고려 역사에서 중대한 전환점을 만든 국왕 중 한 명을 꼽으라면, 단연 제8대 국왕 현종(顯宗)이 빠질 수 없습니다. 즉위부터 거란과의 치열한 전쟁, 그리고 국가 체제 정비에 이르기까지, 그는 고려가 혼란을 이겨내고 전성기로 나아가는 길을 닦은 중요한 인물입니다.현종의 출생과 극적인 즉위 과정 현종은 아버지 왕욱과 어머니 헌정왕후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관계는 당시로선 금기시되는 관계였고, 이로 인해 왕욱은 유배되었으며, 현종은 출생 직후 어머니를 잃고 유모 손에 맡겨져 성장하게 됩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그는 성종의 보호 아래 자랐고, ‘대량원군(大良院君)’에 책봉되며 왕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 고려시대 2025. 4. 10.
조선에 의해서 핍박 받은 고려를 세운 왕건 후손, 그들은 어디에 있을까? 고려를 세운 왕건, 그의 후손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 “고려를 세운 왕건의 후손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역사에 관심이 많은 분이라면, 한 번쯤은 이런 궁금증을 가져보셨을 겁니다.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 우리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인데요. 그가 세운 고려는 약 500년간 지속됐고, 왕건의 자손들이 수십 대에 걸쳐 왕위를 이어갔습니다.하지만 고려가 조선으로 바뀐 뒤, 그 후손들은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요?오늘은 왕건의 후손들이 현재 어디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그리고 그 계보는 어떻게 이어졌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왕건은 누구인가? 먼저 간단히 살펴볼까요?태조 왕건(877~943)은 918년 고려를 건국한 인물입니다. 후삼국을 통일하고, 새로운 통일 왕조를 세워 신라 이후 분열됐던 한반도를 다시 .. 고려시대 2025. 4.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