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일본의 국권 침탈 과정은 대한제국의 주권이 일본 제국에 의해 점차적으로 강탈된 과정을 말합니다. 다음은 주요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정리한 연표입니다.

    한일 합방 조약 조인서

    일본의 국권 침탈 과정 연표

     

    1876년

     

    • 강화도 조약 (2월 26일): 일본은 조선을 강제로 개항시키고 불평등 조약을 체결하여 조선에 대한 경제적, 군사적 침탈을 시작.

    1882년

     

    • 임오군란 (7월 23일): 구식 군대의 반란으로 인해 일본과 청나라 군대가 조선에 개입하게 되고, 일본은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려 함.

    1884년

     

    • 갑신정변 (12월 4일): 급진 개화파가 일본의 지원을 받아 정변을 일으켰으나 실패, 이후 일본의 영향력이 일시적으로 약화됨.

    1894년

     

    • 동학농민운동 (1월 - 9월): 동학 농민들이 봉기하여 반봉건, 반외세 운동을 전개, 이를 계기로 일본이 조선에 군대를 파견.
    • 청일전쟁 (7월 25일 - 1895년 4월 17일):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놓고 청나라와 일본이 전쟁, 일본이 승리하며 조선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

    1895년

     

    • 시모노세키 조약 (4월 17일):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청나라로부터 타이완 등을 할양받고 조선에서의 지배권을 확립.
    • 을미사변 (10월 8일): 명성황후가 일본인들에 의해 암살, 일본의 조선 장악이 더욱 심화됨.

    1896년

     

    • 아관파천 (2월 11일):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 이를 통해 러시아와 일본이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놓고 대립.

    1904년

     

    • 러일전쟁 (2월 8일 - 1905년 9월 5일): 러시아와 일본이 조선과 만주에서의 지배권을 놓고 전쟁, 일본이 승리하며 조선에서의 독점적 지배권을 강화.
    • 한일의정서 (2월 23일): 일본이 조선의 외교권을 장악하고, 조선의 군사적 요충지를 점령할 수 있는 권리를 얻음.
    • 제1차 한일협약 (8월 22일): 일본이 고문정치를 통해 조선의 재정과 외교권을 장악.

    1905년

     

    • 을사늑약 (11월 17일): 일본이 강제로 체결, 조선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실질적으로 일본의 보호국화.
    • 통감부 설치 (12월 20일): 일본이 조선에 통감부를 설치하고, 초대 통감으로 이토 히로부미를 임명.

    1907년

     

    • 헤이그 특사 사건 (6월): 고종이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했으나 실패, 이를 빌미로 고종이 퇴위.
    • 정미7조약 (7월 24일): 일본이 조선의 행정권을 장악하고, 조선군 해산.
    • 정미의병 (8월 - 1909년): 군대 해산 이후 해산 군인들과 의병들이 합세하여 항일운동 전개.

    1909년

     

    • 안중근 의거 (10월 26일): 이토 히로부미가 하얼빈에서 안중근에 의해 저격, 조선 내 일본의 지배가 강화되는 계기.

    1910년

     

    • 한일병합조약 (8월 22일): 조선의 주권을 일본에 완전히 넘기며, 조선은 일본의 식민지가 됨. 8월 29일 조약 발효.

    이 연표는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로 삼기까지의 주요 사건들을 정리한 것으로, 일본의 국권 침탈이 점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