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지도, 백제와 일본의 관계를 알 수 있는 열쇠
칠지도(七支刀), 백제와 일본의 고대 역사를 풀어가는 열쇠
칠지도(七支刀)는 일본 나라현 덴리시에 위치한 이소노카미신궁에 소장된 고대 철제 칼로, 백제와 일본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입니다. 이 칼은 7개의 가지 모양의 칼날이 달려 있어 '칠지도'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백제가 일본(왜)에게 선물한 것으로 전해지며, 고대 한반도와 일본 열도 간의 교류를 증명하는 대표적인 유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정확한 제작 시기와 칼날에 새겨진 명문(銘文)의 의미는 아직도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로 남아 있습니다.
칠지도의 발견과 독특한 형태
칠지도는 1874년 이소노카미신궁의 궁사였던 칸 마사토모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 칼은 부러진 상태였고, 처음에는 쇠창으로 오인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1890년대에 칼 본체에 금으로 상감된 명문이 발견되면서, 이 칼이 '칠지도'라는 이름을 가진 의식용 칼임이 밝혀졌습니다.
칠지도의 전체 길이는 74.9cm이며, 칼 본체의 길이는 65cm입니다. 가장 독특한 점은 본체 양쪽에 3개씩 총 7개의 칼날이 가지처럼 뻗어 있는 형태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무기와는 달리, 특별한 의식이나 주술적 목적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칠지도의 명문과 그 의미
칠지도의 본체에는 앞면과 뒷면에 총 61자의 명문이 금으로 상감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녹과 마모로 인해 완벽히 판독하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명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앞면
"泰和四年(□□)月十六日丙午正陽造百練銕七支刀□辟百兵宜供供侯王□□□□作" (태화 4년 (□□)월 16일 병오 한낮에 백번 제련한 철로 칠지도를 만들었다. 병해를 물리칠 수 있으리라. 후왕에게 주기 알맞다. □□□□가 만들었다.) |
뒷면
"先世以來未有此刀百濟王世-奇生聖音故爲倭王旨造傳示後世" (선세 이래 이런 칼이 없었는데, 백제왕이 대대로 뛰어난 성음(聖音)을 내어 왜왕을 위하여 정교하게 만들었다. 후세에 전하여 보이도록 하여라.) |
이 명문은 칠지도의 제작 시기와 목적, 그리고 백제와 왜의 관계를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명문 해석을 둘러싼 논의
칠지도의 명문은 고대 한일 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특히 다음 세 가지 주제가 주요 쟁점입니다.
칠지도의 제작 시기
명문에 등장하는 '태화 4년'이라는 연호는 칠지도의 제작 시기를 특정하는 데 중요한 단서입니다. 일본 학계에서는 동진(東晉)의 태화 4년인 369년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합니다. 반면, 한국 학계에서는 백제의 독자적인 연호일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명문의 해석에 따라 제작 시기가 3세기 중반부터 6세기 초까지 다양하게 추정되고 있습니다.
백제와 왜의 관계
명문 중 '의공공후왕(宜供供侯王)'은 백제와 왜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문구입니다. 이 문구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백제가 왜에게 칠지도를 하사했다는 '백제하사설'과, 백제가 왜에게 칠지도를 바쳤다는 '백제헌상설'로 견해가 나뉩니다. 현재는 백제와 왜가 대등한 관계에서 교류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가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기생성음(奇生聖音)'의 의미
'기생성음'은 백제 왕실의 신성한 권위를 나타내는 문구로 해석됩니다. 이는 불교나 도교와 같은 종교적 배경과 연결 지어 해석되기도 합니다. 특히, 칠지도의 독특한 형태가 불교의 칠각지(七覺支)나 도교의 수목숭배신앙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칠지도의 역사적 의미
칠지도는 단순한 무기가 아니라, 고대 백제와 일본 간의 정치적, 문화적 교류를 상징하는 유물입니다. 특히, 명문을 통해 백제 왕실의 위상과 왜국(일본)과의 관계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큽니다. 또한, 칠지도의 제작 배경에는 당시 백제 지배층의 종교적 신앙이 깊게 관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칠지도는 현재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한일 양국의 고대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명문의 완벽한 해석과 제작 배경에 대한 연구는 진행 중입니다.
마치며
칠지도는 고대 한반도와 일본 열도를 연결하는 역사의 다리입니다. 그 독특한 형태와 명문은 당시의 정치, 문화, 종교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앞으로도 칠지도에 대한 연구가 계속된다면, 고대 동아시아의 역사를 더욱 풍부하게 해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