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민비) 갈등으로 조선은 점점 어려워지고

마스터지 2024. 10. 7.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의 갈등에 대해서 살펴보기

 

조선 말기, 조선의 마지막 황후였던 명성황후(민비)와 강력한 권력을 휘둘렀던 흥선대원군(이하응)의 이야기는 그 자체로 매우 극적이고 파란만장한 역사적 드라마입니다. 이 두 사람은 한 나라를 두고 서로의 이익과 권력을 위해 끊임없이 충돌하며 갈등을 빚었습니다. 그 갈등의 배경과 이유를 이해하려면 당시 조선이 직면했던 역사적 상황과 두 인물의 성격, 그리고 그들이 추구했던 정치적 목표를 깊이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의 관계, 그리고 그들이 왜 그렇게 자주 부딪히게 되었는지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고종과 명성황후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의 만남의 시작과 시대적 배경

 

흥선대원군은 조선의 제26대 왕인 고종의 아버지로, 어린 아들 고종이 왕위에 오르자 대리청정의 위치에서 조선의 국정을 장악했습니다. 당시 조선은 외세의 압력과 내부의 혼란으로 인해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해 있었습니다. 조선 사회는 개항을 요구하는 외세의 압력과 내부적으로는 세도정치의 폐해로 인해 점점 쇠퇴하고 있었고, 이 와중에 흥선대원군은 개혁을 통해 조선을 다시 안정시키려 했습니다.

 

흥선대원군(이하응)은 당시 권력을 장악한 외척 세력과 세도 정치의 폐해를 제거하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국정을 강력히 장악하고 중앙집권화를 통해 조선의 부패한 정치 체제를 개혁하려 했습니다. 반면, 명성황후(민비)는 고종의 왕비로서 권력의 중심에 서 있었으며, 그녀의 가문인 민씨 일가는 점차 권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기 시작했습니다.

 

명성황후는 궁중에 들어온 후, 조선의 권력 중심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넓히기 위해 민씨 가문의 인물들을 등용하고 흥선대원군의 독단적인 권력 행사를 견제하려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두 인물은 필연적으로 충돌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들의 갈등은 단순히 개인적인 성격의 차이를 넘어 정치적 이해관계의 충돌이었습니다.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의 개혁과 명성황후의 저항

 

흥선대원군은 왕권 강화와 세도 정치의 폐지를 위해 여러 가지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그는 경복궁 중건을 통해 왕실의 위상을 강화하고, 삼정의 문란을 바로잡아 농민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또한, 서양 열강의 요구를 물리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조선을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했습니다. 흥선대원군은 강력한 중앙집권화를 통해 조선의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려 했지만, 이러한 개혁들은 많은 저항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특히 명성황후는 흥선대원군의 강력한 개혁 정책과 권력 집중을 견제하려 했습니다. 그녀는 자신의 가문인 민씨 가문을 통해 권력을 나누고, 흥선대원군의 독단적인 정치 운영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민씨 가문은 점차 고종의 곁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고, 이는 흥선대원군의 권력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명성황후는 외척 세력의 부활을 꾀하며, 자신이 믿을 수 있는 사람들을 권력의 중심으로 끌어들임으로써 흥선대원군의 세력을 약화시키려 했습니다.

 

권력의 중심에서의 갈등으로 개화와 쇄국의 대립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의 갈등이 본격적으로 격화된 이유 중 하나는 개화와 쇄국에 대한 입장 차이였습니다. 흥선대원군은 철저한 쇄국정책을 통해 외세의 간섭을 막고 조선을 지키고자 했습니다. 그는 병인양요(1866)신미양요(1871)에서 서양 세력의 침략에 맞서 강력히 저항하며 조선을 외부로부터 고립시키려 했습니다. 이러한 쇄국정책은 조선을 서양 열강의 영향에서 보호하려는 의도였지만, 그만큼 조선을 외부 세계로부터 고립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반면, 명성황후는 조선의 미래를 위해 외세와의 교류를 통한 개화 정책을 필요로 했습니다. 그녀는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맺고,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이는 것이 조선의 발전에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는 흥선대원군의 철저한 쇄국정책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것이었으며, 명성황후는 이러한 개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고종의 권력을 강화하고 흥선대원군의 영향력을 줄이려 했습니다.

 

결국, 흥선대원군은 왕권을 이용해 자신이 추진하던 정책을 강행하려 했고, 명성황후는 그에 맞서 고종의 권위를 높이며 개화 세력을 끌어들여 조선의 근대화를 추진하려 했습니다. 이러한 입장 차이는 두 사람 간의 갈등을 극대화시켰고, 권력 다툼의 본질은 조선의 미래를 둘러싼 방향성의 차이였습니다.

 

고종의 친정과 흥선대원군의 실각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 간의 갈등은 결국 고종의 친정 선언으로 이어졌습니다. 고종이 성인이 되어 직접 국정을 담당하게 되면서 흥선대원군의 권력은 크게 약화되었습니다. 고종과 명성황후는 흥선대원군의 정책에서 벗어나 개화의 방향으로 조선을 이끌어 가고자 했습니다. 명성황후는 고종의 친정 이후, 흥선대원군을 정치의 중심에서 배제시키기 위해 민씨 가문의 지지를 바탕으로 왕권을 강화하고 흥선대원군의 측근들을 멀리하게 했습니다.

고종

흥선대원군은 결국 실각하게 되었고, 명성황후는 고종과 함께 조선의 개화를 위한 개혁을 추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흥선대원군은 이 상황에 쉽게 굴복하지 않았으며, 이후에도 여러 차례 권력을 되찾기 위해 움직였습니다. 특히 임오군란(1882) 당시 흥선대원군은 반란 세력을 이용해 권력 복귀를 시도했으나, 이는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습니다.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의 관계에 대한 벌거벗은 한국사의 이야기입니다.

 

명성황후 사후 잠시 권력을 잡은 흥선대원군

 

두 사람의 갈등은 명성황후의 죽음으로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됩니다. 1895년, 명성황후는 일본의 사주를 받은 자객들에 의해 경복궁 옥호루에서 잔인하게 살해당했습니다. 이 사건은 을미사변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시 조선 내 일본 세력의 영향력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일어난 비극이었습니다. 흥선대원군은 을미사변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으나,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없습니다. 다만 그는 당시 일본 세력과 어느 정도 연계를 맺고 있었고, 이는 명성황후의 죽음 이후 그가 일시적으로 정치에 복귀할 수 있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명성황후의 죽음 이후, 흥선대원군은 다시 한번 권력을 손에 넣었지만, 조선의 상황은 이미 일본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꿈꿨던 조선의 강력한 독립과 중앙집권을 이루지 못했고, 명성황후 역시 개화를 통한 조선의 발전을 이루기 전에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습니다. 두 사람 모두 각자의 방식으로 조선을 지키고자 했지만, 결국 조선은 일본의 침략에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권력의 갈등 속에 놓인 조선의 운명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의 관계는 단순한 가족 간의 갈등이 아니라, 조선의 미래를 둘러싼 권력 다툼이었습니다. 흥선대원군은 강력한 중앙집권과 쇄국정책을 통해 외세로부터 조선을 지키려 했고, 명성황후는 개화 정책을 통해 조선의 근대화를 이루고자 했습니다. 이들의 갈등은 조선이 처한 시대적 어려움과 맞물려 더욱 복잡하고 극적으로 전개되었습니다.

 

두 사람의 충돌은 결과적으로 조선을 둘러싼 국제 정세 속에서 권력의 혼란과 내부의 분열을 가져왔으며, 이는 이후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 이어지게 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조선을 사랑했고, 그들의 갈등 속에서 조선의 운명은 점점 외세의 손아귀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의 이야기는 오늘날 우리에게 중요한 역사적 교훈을 남깁니다. 국가의 미래를 둘러싼 방향성의 차이와 그로 인한 권력 다툼이 한 나라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기 때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