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조의 아들 예종, 아버지에 가려진 안타까운 왕

마스터지 2025. 1. 25.

세조의 둘째 아들 예종, 짧았지만 의미 있는 재위 기간


조선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하나인 예종(睿宗)은 세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많은 사건과 업적을 남겼습니다. 이번에는 예종의 생애와 재위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세조와 예종의 무덤

출생 1450123
재위기간 1468101~ 147019
사망 147019

예종의 출생과 세자 책봉


1450년(세종 32)에 태어난 예종은 세조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파평윤씨 윤번의 딸 정희왕후입니다. 자는 명조(明照), 평보(平甫)이며 이름은 이황(李晄)입니다. 1455년(세조 1)에 형 이장이 의경세자로 책봉된 후 해양대군으로 봉해졌습니다. 그러나 1457년(세조 3) 의경세자가 승하하면서 세조는 적장손 월산대군을 세손으로 삼지 않고 둘째 아들 해양대군을 세자로 책봉하였습니다. 세자빈으로는 1460년(세조 6)에 한명회(韓明澮)의 딸을 정하여, 예종은 11세, 세자빈은 16세에 있었습니다. 안순왕후와의 사이에 2남 2녀를 두었으나, 일부는 일찍 사망하였습니다.

예종의 상상도

세자 시절 제왕학의 길을 걷다


세자 시절부터 예종은 부왕 세조의 깊은 관심과 지도를 받으며 제왕학을 익혔습니다. 세조는 예종에게 『훈사(訓辭)』라는 교훈서를 내려주었는데, 이는 예종이 앞으로 왕으로서 가져야 할 덕목과 자세를 담고 있었습니다. 예종은 부왕의 엄격한 교훈을 충실히 따르며, 『효경』, 『대학』, 『논어』, 『상서』, 『시경』, 『통감』 등을 공부하며 왕으로서의 자질을 갖추었습니다.

 

1466년(세조 12)에 예종은 아헌관으로 참여하며 부왕 세조의 문묘 제사에 참석하였고, 세조의 병환이 심해지자 세자의 지위로 신숙주, 한명회, 구치관 등 원로대신들과 함께 정무를 처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세조는 "일을 부탁할 사람을 얻었으니 내가 근심이 없다."며 기뻐하였습니다.

 

조선 제8대 왕으로 즉위 및 짧은 재위 기간


1468년(세조 14) 9월, 부왕 세조로부터 왕위를 이어받아 조선 제8대 왕으로 즉위한 예종은 불과 14개월 만에 1469년(예종 1) 11월 승하하였습니다. 예종의 짧은 재위 기간은 부왕 세조의 병간호로 인한 후유증 때문으로 보입니다. 세조의 병환을 돌보며 자신의 건강을 돌보지 못했던 예종은 세조 사망 후 슬픔에 빠져 건강을 잃게 되었습니다.

 

짧은 재위기간으로 인해 뜻을 펼치지 못한 예종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재위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


예종의 재위 기간 동안 두드러진 사건으로는 '남이의 옥사'와 '민수의 사화'가 있습니다.

 

  • 남이의 옥사: 예종 즉위 후 한 달 여 만에 옥사가 발생했습니다. 세조의 신임을 받은 남이는 시기와 경쟁으로 인해 반역 혐의로 처형되었고, 이로 인해 세력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 민수의 사화: 『세조실록』 편찬 과정에서 사초 수정 시도가 문제가 되어 사화가 발생했습니다. 민수와 강치성, 원숙강 등이 관련되어 처형되었으며, 이는 예종의 재위 초기에 큰 혼란을 초래했습니다.

 

예종의 업적과 평가


예종은 재위 기간 동안 경연을 게을리하지 않고 국무를 처리하며 여러 업적을 남겼습니다. 『역대세기(歷代世紀)』와 『국조무정보감(國朝武定寶鑑)』을 펴내어 역사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으며, 효자와 열녀들을 찾아내어 기리는 등 효(孝)의 덕목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언로를 널리 개방하여 정사와 민생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인재를 발굴하는 데 힘썼습니다.

 

비록 짧은 재위 기간이었지만, 예종은 제왕학을 성실히 이수하고 국정을 운영하며 조선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그의 재위는 『경국대전』의 완성에는 이르지 못했으나, 그의 노력은 후대에 이어져 성종 때 완성될 『경국대전』의 기초를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예종은 짧은 재위 기간 동안 많은 어려움과 사건을 겪었지만, 제왕학을 성실히 이수하고 국정을 운영하며 조선의 안정을 도모했습니다. 그의 노력과 업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조선 제8대 왕으로서의 그의 역할은 역사에 깊이 남아 있습니다. 예종의 생애와 재위 기간을 통해 우리는 조선 왕실의 복잡한 정치와 세자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