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무28조의 최승로, 고려 초기 국가 체제 정비 기틀 마련

마스터지 2025. 1. 31.

최승로, 고려 초기를 빛낸 문신 관료의 삶과 업적


고려 초기, 혼란과 변혁의 시기를 헤쳐 나간 문신 관료 최승로는 그의 헌신과 지혜로 인해 역사에 깊이 새겨진 인물입니다. 927년 태조 왕건의 통일 이후 활약했던 최승로는 989년 성종 8년에 사망하였으며, 그의 삶과 업적은 『삼국유사』, 『고려사』, 『고려사절요』 등의 기록을 통해 엿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최승로의 생애, 정치적 활동, 그리고 그의 역사적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최승로

최승로의 출생과 가문


최승로는 927년 태조 왕건의 통일기인 태조 10년에 태어났습니다. 경주 출신으로, 아버지는 최은함(崔殷含)입니다. 그의 출신지와 성씨로 미루어 보아, 최씨는 6두품 집안의 후예로 여겨졌습니다. 이는 그가 유서 깊은 가문 출신임을 의미하며, 그의 성장과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시무28조

어린 시절과 태조 왕건과의 만남


최승로의 일생에 대한 기록은 현재 매우 소략하게 남아 있지만, 『삼국유사』에 따르면 그의 출생에는 신비로운 일화가 담겨 있습니다. 최은함은 오랫동안 아들을 얻지 못하다가 관음보살에게 기도를 올린 뒤 최승로가 태어났다고 전해집니다. 태어났지만 생후 채 석 달도 되지 않아 신라의 도읍 서라벌을 침공한 견훤의 위협 속에서 최은함은 아기를 안고 절로 가 관음보살상 아래에 숨기며 간절히 기도하였고, 놀랍게도 최승로는 무사히 살아남았습니다.

 

935년, 신라의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하며 개경으로 옮겨 살게 되었습니다. 최은함 역시 경순왕을 따라 고려로 왔고, 이로 인해 최승로는 12세 때 태조 왕건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왕건은 어린 최승로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여 『논어』를 읽어보게 하고, 원봉성에 들어가 교육을 받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최승로가 훗날 고려의 중요한 문신으로 성장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혼란기 속의 최승로, 군주와 신하의 갈등


최승로가 본격적으로 관리 생활을 시작한 것은 태조의 말년 무렵부터였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후 혜종, 정종, 광종, 경종 등으로 이어지는 시기는 정치적으로 극심한 혼란기였습니다. 군주와 신하 간의 신뢰 부족, 신하들 간의 알력, 내란과 숙청으로 인해 관리들이 거의 남아있지 않았던 시기였습니다. 이 혼란 속에서도 최승로는 문사 계통의 업무를 담당하며 정치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성종 시대의 부상과 상언


982년 성종이 즉위하면서 정치적 혼란은 서서히 잦아들기 시작했습니다. 성종은 국가 체제를 정비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였고, 이 과정에서 오랫동안 기록에서 사라져 있던 최승로가 다시 등장하게 됩니다. 당시 최승로는 56세의 나이로 『오조정적평』과 『시무 28조』라는 상언을 올리며 성종에게 중요한 조언을 제공했습니다.

 

오조정적평


최승로는 『오조정적평』에서 태조 이래의 다섯 국왕의 업적과 실수를 평가하며, 성종에게 선왕들의 좋은 점은 본받고 나쁜 점은 경계하도록 조언했습니다. 태조 왕건의 통일 대업에 대한 극찬과 함께, 혜종, 정종, 광종, 경종의 정치적 실수들을 지적하며 현명한 통치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시무 28조


『시무 28조』는 최승로가 성종에게 건의한 당면 과제들로, 사회제도와 문화적 측면에서 다양한 개혁안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불교계를 견제하고, 산악과 성수에 올리는 제사를 없애며, 연등회와 팔관회 축소, 예악·시·서의 가르침 강화 등을 제안했습니다. 또한, 궁궐 시위군의 수를 줄이고 신하들을 존중하여 예로 대할 것을 권장했습니다. 이러한 개혁안들은 성종 시대의 국가 체제 정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시무 28조

최승로의 시무28조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최승로의 정치적 영향과 업적


최승로는 『시무 28조』를 통해 제안한 여러 개혁안이 성종 시대에 시행됨으로써 그의 정치적 영향력이 드러났습니다. 983년 성종 2년에는 과거 시험을 주관하여 강감찬을 장원으로 선발하는 등, 그의 조언은 실제 정치에 반영되었습니다. 이후 그는 문하시랑평장사, 문하수시중 등 고위 관직에 오르며 고려 정치의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최승로의 사망과 추증


989년 성종 8년에 최승로는 6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습니다. 그의 사후, 태사와 대광 내사령으로 추증받으며 그의 업적과 헌신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습니다. 최승로는 그의 지혜와 노력으로 고려 초기의 정치적 혼란기를 헤쳐 나가며 국가 체제 정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역사 속의 최승로


최승로는 고려 초기의 정치적 혼란기 속에서도 그의 지혜와 헌신으로 국가 체제 정비에 기여한 중요한 문신 관료입니다. 그의 상언과 정치적 활동은 고려 성종 시대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업적은 『삼국유사』와 『고려사』 등의 역사서에 기록되어 후대에 전해지고 있습니다. 최승로의 삶은 역사 속에서 그의 이름을 빛내며, 오늘날까지도 그의 지혜와 헌신은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