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과 한나라와의 전쟁, 고조선의 멸망으로 가는 시작
기원전 109~108년 고조선과 한의 전쟁
기원전 109년부터 108년까지 이어진 고조선과 한(漢) 간의 전쟁은 고대 동아시아의 잘 기억하지 못하는 전쟁 중 하나입니다. 이 전쟁은 한의 대군이 고조선의 왕도인 왕검성(王儉城)을 포위하며 치열한 교전이 벌어졌지만, 결국 고조선 내부의 분열로 인해 성이 함락되고 고조선은 멸망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고조선과 한의 전쟁 배경부터 전쟁의 양상, 그리고 전쟁 후의 상황까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전쟁의 배경
고조선은 위만(衛滿) 시기부터 한의 외신(外臣) 지위를 획득하며 한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습니다. 한은 건국 이후 황제를 중심으로 강력한 집권 체제를 구축했고, 자국의 영향력 밖에 있는 이민족들을 포섭하기 위해 외신제를 도입했습니다. 외신제는 이민족들을 한의 천하 구성원으로 편입시키는 수단으로, 이를 통해 한은 동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했습니다.
위만이 정변을 통해 고조선의 왕이 되면서, 한은 요동태수(遼東太守)를 통해 위만을 외신으로 삼았습니다. 위만은 이민족들의 한 침입을 통제하고, 이민족 군장들이 한과 교섭할 때 중개자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고조선은 강력한 위세와 부를 얻게 되었지만, 내부 정치에 대한 한의 간섭은 거의 없었습니다. 위만의 손자인 우거왕(右渠王) 시대에 이르러 고조선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커지면서 한과의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2. 전쟁의 발발
『사기(史記)』에 따르면, 고조선은 주변국들이 한나라의 천자를 알현하는 것을 막아 한의 외신 지위를 위협했습니다. 한 무제(漢武帝)는 기원전 109년 섭하(涉何)를 사신으로 보내 이러한 행태를 문제 삼아 경고했으나, 우거왕은 이를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섭하가 귀국 도중 고조선의 비왕 장을 찔러 죽이고 달아났지만, 한 무제는 이를 벌하지 않고 요동동부도위라는 벼슬을 내렸습니다. 이로 인해 고조선은 분노하여 군사를 일으켜 섭하를 살해했고, 한은 이를 반란으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정벌을 명령하게 되었습니다.
3. 고조선 정벌군의 출정과 전쟁의 양상
한의 고조선 정벌군은 두 개의 군단으로 나뉘어 출정했습니다. 누선장군 양복(楊㒒)은 산동 반도에서 7,000명의 병사를 이끌고 해상으로 진격했고, 좌장군 순체(荀彘)는 5만 명의 대군을 이끌고 요동 쪽에서 육로로 진군했습니다. 전쟁 초반에는 고조선군이 군사적 우위를 점하며 선제 공격을 감행했으나, 한의 전략적 대응으로 큰 패배를 당했습니다. 특히, 누선장군 양복은 해로를 이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조선군의 공격에 패해 병사들을 모두 잃고 산 속에 몸을 숨겨야 했습니다.
전황이 불리하게 돌아가자 한 무제는 다시 사신을 보내 외교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협상이 결렬되면서 전쟁은 재개되었습니다. 재개된 전쟁에서는 한군이 유리하게 전개되었고, 좌장군 순체의 군대가 패수를 격파하며 왕검성을 포위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왕검성의 수비는 매우 견고했으며, 몇 달에 걸친 공세에도 불구하고 성을 함락시키지 못했습니다. 이때 한 군 내부의 분열이 전세를 뒤바꾸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4. 왕검성 내부의 분열과 배신
순체와 양복 두 장군은 전쟁에 대한 태도에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순체는 공격적이었으나, 양복은 전쟁 초기에 큰 패배를 당한 후 소극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이러한 상반된 태도는 두 장군 간의 반목을 초래했고, 고조선 내부의 대신들은 고조선이 항복할 가능성이 있는 양복에게 접근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순체는 양복을 체포하고 자신의 지휘 아래 군대를 재편성하였습니다.
이후 두 군대를 합친 순체는 왕검성을 더욱 맹렬히 공격하였고, 고조선 상층부의 주요 인물들은 항복을 결심하고 도주하였습니다. 우거왕은 항복을 거부했으나, 결국 내부의 반란으로 살해되었고, 그의 아들 장항과 조선상 노인의 아들 최는 백성들을 회유하며 전쟁을 마무리하였습니다. 결국 왕검성은 함락되었고, 고조선은 멸망하게 되었습니다.
고조선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강의입니다.
5. 전쟁 후의 상황
전쟁은 한의 승리로 끝났지만, 그 결과는 영광스럽지 않았습니다. 무제는 전쟁 중의 군사 지도자 순체를 처형하였고, 양복은 서인으로 강등되는 데 그쳤습니다. 또한, 한군에 투항한 이계상 삼 등의 인물들은 열후에 봉해졌으나, 이후 포로 은닉 및 모반 혐의로 처형당하기도 했습니다. 고조선의 옛 영토에는 낙랑군, 임둔군, 진번군, 현도군이 설치되었으나, 대부분은 곧 폐지되거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단지 낙랑군만이 오랜 기간 동안 변군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하였습니다.
고조선과 한의 전쟁은 한나라의 영향력 확대와 고조선의 내부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난 역사적 사건입니다. 이 전쟁을 통해 한은 동아시아에서의 주도권을 공고히 했으나, 전쟁 후의 혼란과 내부 분열은 한 내부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고조선의 멸망은 한나라의 영토 확장과 이민족 포섭 정책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이후 동아시아의 정치 지형에도 중요한 변화를 초래했습니다.
역사를 통해 본 이러한 사건들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많은 교훈을 줍니다. 국가 간의 갈등과 내부 분열이 어떻게 역사적 변화를 이끌어내는지를 이해함으로써, 현대 사회에서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