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의 아관파천, 역사적 배경과 조선의 운명
조선의 왕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도망친 사건, 아관파천이란?
조선 역사에서 '아관파천(俄館播遷)'은 단순한 피신 사건이 아닙니다. 이는 조선 왕실의 정치적 생존을 위한 절박한 선택이었으며, 국제 정세 속에서 벌어진 한 편의 생생한 드라마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아관파천의 배경부터 사건의 전개, 그 이후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까지 시간 순으로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릴게요.
아관파천이란?
‘아관파천(俄館播遷)’은 고종과 세자(순종)가 1896년 2월 11일,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사건을 말합니다. 이 말 그대로 해석하면, "러시아 공사관으로의 거처 이동"이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이 사건의 이면에는 명성황후 시해, 친일 내각의 압박, 외세에 의한 조선의 운명이라는 복잡한 배경이 얽혀 있었습니다.
사건의 시간순 정리
1. 1895년 10월 8일 – 을미사변 발생
- 일본 낭인들과 일본군이 경복궁에 침입하여 명성황후(민비)를 시해합니다.
- 명성황후는 일본의 침략 정책에 맞서 러시아와의 협력을 추진하던 인물이었고, 이는 일본에게 큰 위협으로 느껴졌습니다.
- 이 사건은 고종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었고, 일본에 대한 불신과 두려움을 극대화시켰습니다.
2024.07.02 - [근대] - 을미사변, 조선이 일제강점기로 가는 역사적인 사건 중 하나
을미사변, 조선이 일제강점기로 가는 역사적인 사건 중 하나
을미사변, 한국사의 전환점을미사변이라고도 알려진 을미사변은 1895년 10월 8일에 발생한 한국사에 있어서 중추적인 사건이다. 이 비극적인 사건은 고종의 비인 명성황후(민왕후)가 암살되는 사
234.goodthinq.com
2. 1895년 말 – 을미개혁 강행
- 명성황후가 제거된 이후, 일본은 친일 내각을 내세워 을미개혁을 밀어붙입니다.
- 개혁에는 단발령(상투 자르는 법), 군제 개편, 신교육 도입 등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 백성들은 “왕비도 죽이고 머리까지 자르라니”라며 반발했고, 의병이 전국에서 일어납니다.
3. 1896년 1~2월 – 고종의 불안감 극에 달함
- 왕비를 지켜주지 못한 고종은 일본의 영향력이 너무 크고 자신도 제거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느끼게 됩니다.
- 고종은 친러파 대신들과 비밀리에 접촉을 시작합니다. 이때부터 러시아 공사관으로의 거처 이전 계획이 본격적으로 논의됩니다.
4. 1896년 2월 11일 – 아관파천 단행
- 새벽녘, 고종과 세자(훗날의 순종)는 신하 몇 명과 함께 가마를 타고 몰래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동합니다.
- 일본 공사관은 물론 조선 정부 내 친일 세력도 이를 전혀 눈치채지 못했습니다.
-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고종은 그곳에서 약 1년간 머물게 됩니다.
5. 1896년 2월 이후 – 친러 내각 수립
- 고종이 아관파천을 단행하자, 기존 친일 내각은 무너지고 친러파 인물들 중심의 정국 재편이 이루어집니다.
- 대표적으로 이완용, 민영환, 이범진 등이 새롭게 부상하게 됩니다.
아관파천이 조선에 남긴 영향
1. 조선의 주권 약화
- 왕이 공사관으로 피신한 것은 나라의 최고 통치자가 외국의 보호를 받아야 했던 상황을 드러냅니다.
- 이는 조선이 사실상 자주권을 상실했음을 상징하는 사건이 되었습니다.
2. 열강의 침투 가속화
-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며 러시아와 더욱 가까워지자, 영국, 미국, 일본, 청 등 열강들이 조선에 더 적극적으로 개입합니다.
- 이는 조선 땅을 둘러싼 제국주의 국가들의 이권 경쟁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3. 개혁의 후퇴
- 을미개혁은 사실 일본이 주도한 개혁이었지만, 그중 일부는 당시 사회 개혁에 도움이 될 수 있던 내용도 있었습니다.
- 하지만 아관파천 이후 일본 영향력이 축소되면서 개혁이 중단되고, 혼란한 정치 공백이 이어지게 됩니다.
4. 대한제국 수립의 전초
- 고종은 결국 1897년 러시아 공사관을 나와 경운궁(덕수궁)으로 돌아온 뒤, 대한제국을 선포합니다.
- 이는 명목상 ‘자주 독립국가’임을 선포하기 위함이었지만, 국제사회에서는 오히려 조선의 약점을 드러낸 사건으로 평가됩니다.
2024.08.24 - [근대] - 대한제국의 국권 침탈 과정을 연표로 정리, 일본의 야욕이 치밀했다는 것을 보여줌
대한제국의 국권 침탈 과정을 연표로 정리, 일본의 야욕이 치밀했다는 것을 보여줌
일본의 국권 침탈 과정은 대한제국의 주권이 일본 제국에 의해 점차적으로 강탈된 과정을 말합니다. 다음은 주요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정리한 연표입니다.일본의 국권 침탈 과정 연표 1876년
234.goodthinq.com
왜 고종은 러시아를 선택했을까?
- 명성황후가 시해되기 전부터 러시아는 조선에 접근하며 일본과의 균형 세력을 이루려 했습니다.
- 고종은 일본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 중국(청나라)보다는 러시아가 실질적인 보호세력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 러시아 역시 일본의 조선 지배를 견제하기 위해 고종의 피신을 환영했으며, 자국의 이익을 위해 조선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관파천, ‘도망’ 그 이상의 의미
아관파천은 단순한 왕의 피신 사건이 아닙니다.
이는 한 나라의 왕이 직접 선택한 '정치적 도망'이자, 제국주의의 그림자 속에서 몸부림치던 조선의 자화상입니다.
이 사건은 우리가 과거를 돌아보며 국제정세 속에서 자주와 주권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되새기게 합니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집니다. "우리는 지금 누구의 영향력 아래 있는가?"
댓글